KBS 홈페이지에서 http://www.kbs.co.kr/notice/notice.html 1. 지상파 UHD 양방향 서비스 TIVIVA 란? 안테나를 통해 지상파 UHD 방송을 보다가 언제든지 다시 보기(VOD)나 관련 영상 등 시청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상파 3사(SBS, KBS, MBC)가 준비한 세계 최초의 지상파UHD 양방향 서비스입니다. TIVIVA에는 50여개의 실시간 방송 채널과 드라마, 예능,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콘텐츠의 다시 보기(VOD)가 준비돼 있습니다. 지상파 3사는 TIVIVA의 지속적인 업그레이를 통해 UHD 방송과 OTT(Over The Air)가 결합된 차세대 방송을 만들어 갈 계획입니다. 2. TIVIVA 서비스 이용 방법 TIVIVA 서비스가 탑재된 ..
2017년 5월 지상파 UHD방송이 시작되었습니다. 국내 UHD방송은 미국방식인 ATSC 방식 (ATSC 3.0) 으로 결정되었습니다. 표준의 완성도에 비해 본방송이 빨리 시작되었고 UHD 수상기 보급률도 매우 낮은편입니다. 고화질보다는 개인적으로 다채널 정책을 선호하지만...... 현재 송신시설 구축이 완료된 지역은 수도권입니다. 2017년 : 수도권 (관악산, 남산, 광교산(성남/분당) 송신 지역) 2018년 : 광역시권 (부산 황령산, 울산 무룡산, 대구 팔공산, 광주 무등산, 대전 식장/계룡산) 강원권 (강릉 괘방산, 원주 태기산) 2020년 : 시군권 (창원, 진주, 목포, 전주, 청주, 춘천, 강릉, 제주) 2011년 : 시군권 (안동, 포항, 순천, 전주, 충주, 경인) 그 외 난시청지역에 ..
◉ 10cm의 혁명 “Near Field Communication” 1. NFC란 무엇인가?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이란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을 의미합니다. ▶ 기존의 비접촉식 스마트카드 기술과 무선인식기술 (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의 확장 형태로, 최근 스마트폰과의 결합을 통해 단말 간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금융거래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13.56MHz 대역의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은 통신범위에 따라 10cm 이내의 근접형 (Proximity)과 1m 범위까지 인식이 가능한 주변형 (Vicinity)으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2005년..
문답으로 풀어보는 Freeview 와 K-VIEW !! ◎ Freeview는 뭔가요? Freeview 란 2002년 10월 영국에서 시작된 " 무료 다채널 지상파 DTV서비스" 로 공영방송사인 BBC를 포함하여 ITV, Channel 4, B sky B 등 4개 방송사와 Arqiva라는 송신전문회사가 연합하여 현재 영국 전역에서 6개의 멀티플렉스 채널을 통해 50개의 TV방송과 24개의 라디오방송, 그리고 4개의 양방향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2009년 2분기 기준으로 영국에서 디지털 TV를 시청하고 있는 가수 수는 2300만에 달하며 이는 전체 시청 가수 수의 89.8%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에는 freeview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현재 영국 내 970만 가구 (37..
2012년 방송과기술 기고.... ◉ 지상파 DTV 다채널 서비스 1. 지상파 DTV 다채널 서비스 ▶ 다채널 서비스란 주파수 대역 (6MHz, ATSC) 내에서 2개 이상의 가상 채널을 운용해 다수의 비디오 (HD 혹은 SD), 오디오, 데이터 등을 동시에 전송하는 방송서비스를 말합니다. ▶ ATSC DTV 전송방식의 경우 한 채널에 19.39Mbps 전송이 가능하며 압축방법에 따라 다수의 채널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나의 물리적인 채널에 여러 개의 가상채널을 전송하는 방식을 MMS (Multi mode service) 라고 합니다. [그림 1] 지상파 DTV 다채널 서비스 예 (1HD +1SD) ▶ 미국, 영국, 일본 등 해외에서는 이미 활발하게 지상파 DTV 다채널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 고성능~ 인터페이스 ThunderBolt 1. I/O 인터페이스 ▶인터넷 사용의 폭발적인 증가와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사용이 늘어나면서 네트워크(망)의 대역폭 확대와 더불어 멀티미디어 기기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에도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습니다. ▶케이블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선기술 중에는 기본적인 제어가 가능한 IrDA (대부분의 Remort controller 사용)부터 Bluetooth, Zigbee 등이 개발되었으며,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유선기술에서는 USB, IEEE1394 (FireWire) 등이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최근 대역폭과 확장성에서 탁월한 성능을 나타내는 I/O 인터페이스 규격이 Intel 과 Apple 社의 공동개발로 발표되었습니다. 이름 하여 ..
2012년도 방송과기술 Way to Eng 기고 1. 무선전력전송 (Wireless Power Transfer)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전기에너지를 무선전송에 유리한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에너지를 전달하는 개념의 전력전송 방식입니다. ▶실제로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이미 100년 전에 구현되어 실제 제품에 활용되고 있는 기술입니다. 다만, 여러 가지 기술적 한계로 각종 전기전자제품의 전원케이블을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 활발히 이용되지 못하였습니다. ▶최근 기존 무선전력전송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자기 공명 방식(Resonant Magnetic Coupling) 의 등장에 따라 진정한 무선전력전송의 확대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2. 무선전력전송 기술 분류 ▶기존에 사용되던 무전전력전송 기술에는 자기유도 방식과 전자..
2012년도 방송과기술 way to Eng 연재 1. Big Data 개념 지난 1월 『거대한 전환, 새로운 모델 형성』이라는 주제로 열린 세계경제포럼 (World Economic Forum)에서 Big Data가 올해의 키워드로 선정되었습니다. Big Data는 일반적인 DB S/W로는 관리하기 어려운 정도의 큰 규모의 데이터로 수십 테라에서 페타, 엑사 바이트 정도의 대용량 데이터를 의미하며, 최근에는 대용량 데이터의 수집, 저장, 분석, 체계화를 위한 도구, 플랫폼, 분석기법 등을 포괄하는 용어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Big Data라는 용어보다는 Data mining 이라는 포괄적 개념의 단어를 사용하였습니다. * 테라 (10^12), 페타 (10^15), 엑사(10^18), 제타(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