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답으로 풀어보는 Freeview 와 K-VIEW !!
◎ Freeview는 뭔가요?
Freeview 란 2002년 10월 영국에서 시작된 " 무료 다채널 지상파 DTV서비스" 로 공영방송사인 BBC를
포함하여 ITV, Channel 4, B sky B 등 4개 방송사와 Arqiva라는 송신전문회사가 연합하여 현재 영국 전역에서 6개의 멀티플렉스 채널을 통해 50개의 TV방송과 24개의 라디오방송, 그리고 4개의 양방향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2009년 2분기 기준으로 영국에서 디지털 TV를 시청하고 있는 가수 수는 2300만에 달하며 이는 전체 시청 가수 수의 89.8%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에는 freeview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현재 영국 내 970만 가구 (37%)가 freeview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림 1] freeview 서비스 계통도
◎ 그럼 K-VIEW는 무었입니까?
K-view란 한국형 "무료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로 무료 보편적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영방송의 책무와 양질의 다양한 콘텐츠를 원하는 시청자의 needs를 충족 시킬 수 있는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입니다. KBS1과 KBS2 그리고 EBS 채널까지 활용한다면 다양한 콘텐츠로 구성된 10개 이상의 다채널 구성이 가능합니다.
(5개 지상파 방송채널 활용시 20채널 이상 다채널 구성가능)
◎ 어떻게 기존 1채널 방송대역에 여러 채널을 전송하나요?
한국에서 지상파 DTV 표준으로 채택한 ATSC방식은 6Mhz 대역폭에 19.39Mbps의 데이터량을 전송할 수 있으며 화질에 따라 적절한 영상압축방식을 사용하면 다수의 채널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검토 중인 K-view 채널 구성은 기존 DTV 사용자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HD 1채널에 SD 3채널과 부가적으로 데이터 및 라디오 채널을 운용할 예정입니다.
기존 DTV 수상기 소유자는 계속해서 기존 방송 수신이 가능하며, 다채널 서비스인 K-view 수신을 위해서는 별도의 셋탑 박스나 k-view 기능을 지원하는 DTV를 구입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저렴한 셋탑박스가 공급되도록 노력중입니다.
[그림 2] k-view 대역폭 구성 (가안)
◎ K-VIEW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성은 어떻게 되나요?
K-view 서비스 구현을 위해 송신시설은 변경되지 않으며, 기존 KBS DTV 송신시설을 이용하게 됩니다. 다만 부가되는 채널을 위한 MPEG 엔코더와 다중화장비 (멀티플렉서) 는 연주소에 추가되어야 합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청자는 k-view 서비스를 지원하는 수상기가 필요합니다.
[그림 3] k-view 시스템 구성 (가안)
◎ K-VIEW 구현을 위한 추가적인 검토사항은 무었인가요?
성공적인 K-VIEW 서비스 구현을 위해서는 정부기관, 방송사, 제조사 및 표준화단체 등의 긴밀한 협력과 대 국민 홍보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본격적인 디지털 방송시대에 양질의 다양한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는 시청자의 주권을 보호하는 것이 정책추진의 최우선 과제일 것입니다. 이를 위해 다채널 서비스에 대한 관련법령 개정과 MPEG 4 압축 및 전송에 대한 기술표준 개정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TTAK.KO-07.0014/R2)
그리고 방송사에서는 다수의 채널에 필요한 양질의 콘텐츠 창출과 제한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다중화 기술 및 최적의 화질이 구현될 수 있도록 면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표준화된 K-VIEW 수상기의 조기 개발과 저렴한 가격의 셋탑박스가 공급될 수 있도록 관련기관들이 공동 노력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소외계층(저소득층)에 대한 지원방안도 수립되어야 할 것입니다.
마무리 하자면 K-VIEW는 무료 보편적인 시청자 주권을 보호하고 양질의 다채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상파 서비스입니다. 소모적인 논쟁보다는 진화를 위한 디지털 패러다임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런저런 기술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UHDTV 방송구역 (확장계획) (0) | 2017.12.21 |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0) | 2017.12.14 |
콘텐츠와 플랫폼 (OTT) (0) | 2017.12.13 |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 (MMS) (0) | 2017.12.13 |
ThunderBolt (0) | 2017.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