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12년 방송과기술 기고....

 

지상파 DTV 다채널 서비스

 

 

1. 지상파 DTV 다채널 서비스

 

  ▶ 다채널 서비스란 주파수 대역 (6MHz, ATSC) 내에서 2개 이상의 가상 채널을 운용해 다수의 비디오 (HD 혹은 SD),

      오디오, 데이터 등을 동시에 전송하는 방송서비스를 말합니다.

 

  ▶ ATSC DTV 전송방식의 경우 한 채널에 19.39Mbps 전송이 가능하며 압축방법에 따라 다수의 채널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나의 물리적인 채널에 여러 개의 가상채널을 전송하는 방식을

     MMS (Multi mode service) 라고 합니다.

 

                           [그림 1] 지상파 DTV 다채널 서비스 예 (1HD +1SD)

 

  ▶ 미국, 영국, 일본 등 해외에서는 이미 활발하게 지상파 DTV 다채널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지상파 DTV 다채널 서비스를 위한 여러가지 연구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2. 영국의 다채널 서비스 (Freeview)

 

 

  ▶ Freeview 란 2002년 10월 영국에서 시작된 "무료 다채널 지상파 DTV 서비스"로 공영방송사인 BBC를 포함하여

      ITV, Channel 4,  B sky B 등 4개 방송사와 Arqiva라는 송신전문회사가 연합하여 현재 영국전역에서 6개의 멀티플렉스

      채널을 통해 50개의 TV방송과 24개의 라디오방송, 그리고 4개의 양방향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 2009년 2분기 기준으로 영국에서 디지털 TV를 시청하고 있는 가구수는 2300만에 달하며 이는 전체 시청가구수의

     89.8%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에는 Freeview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2010년 현재

     영국내 970만 가구 (37%)가 Freeview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3. 미국의 Multicasting

 

  ▶ 북미 DTV 전송방식인 ATSC 표준은 다채널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Multi program' 전송기능을 표준에 포함하고 있으며,

      별도의 허가없이 다채널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 FCC는 지상파방송 사업자 허가 시, 6MHz 대역 내에서 HD급 1개 채널의 방송을 권장하고 있지만, 허가된 주파수 대역 및

      채널의 활용방법에 대해서는 개별 방송사업자에게 최대한 자율권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표 1] 미국 지상파 DTV 다채널 방송 운용모델

 

 

4. 일본의 Multi-Program

 

 

  ▶ 일본은 미국과 유사하게 HD급 단일 채널 중심의 지상파 디지털 전환 정책을 추진해 왔습니다. 일본에서는 HDTV의 의무 편성

      비율인 50%를 준수하는 것 이외에 다채널 편성에 관한 문제는 방송사의 자율에 맡겨져 있습니다. 

 

  ▶ 일본의 DTV 전송방식인 ISDB-T 방식은 6MHz 대역을 13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이 중 12개 세그먼트는 HDTV방송을,

      1개 세그먼트는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용으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HDTV대신 3개의 SDTV를 전송하는것도 허용되고 있습니다.

 

 

 

5. 한국의 다채널 서비스 및 결언

 

  ▶ 국내에서는 2002년 월드컵을 기점으로 지상파 DTV 다채널 서비스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최근에는 KBS를

      중심으로 영국의 Freeview 서비스를 모티브로 한 'Koreaview'서비스가 추진되면서 지상파 DTV 다채널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그러나 국내에서는 미디어 산업계의 이해관계, 관계부처의 분산, 법령 미비 등 선결되어야 할 과제가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 하지만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본격적인 디지털 방송시대에 양질의 다양한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는

      시청자의 주권을 보호하고 디지털 소외계층 (저소득층) 을 아우르는 정책추진이 최우선되어야 할 것입니다.

 

  ▶ 마무리 하자면 지상파 DTV 다채널 서비스는 무료 보편적인 시청자 주권을 보호하고 양질의 다채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상파 서비스 입니다. 소모적인 논쟁보다는 진화를 위한 디지털 패러다임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참고문헌

 - 해외에 지상파 DTV 다채널 서비스 현황 및 국내 도입을 위한 시사점 (채지혜, 권혜선, 신현필)

'이런저런 기술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9년 기술협회보 (freeview 와 K-view)  (0) 2017.12.13
콘텐츠와 플랫폼 (OTT)  (0) 2017.12.13
ThunderBolt  (0) 2017.12.12
무선전력전송  (0) 2017.12.12
빅데이터  (0) 2017.12.12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